[축산신문]
윤 봉 중 본지 회장
농업 전체 생산액의 4할을 차지하는 축산, 품목별로도 농산물 생산액 상위 10위 안에 6개(돼지, 한우, 우유, 닭, 계란, 오리)를 차지하는 축산의 위상이 요즘 말이 아니다.
국내 축산업이 짧은 기간 동안 비약적인 발전의 동력에는 국민 1인당 160kg의 축산물 섭취가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쌀 소비 56kg의 3배를 상회할 정도다. 명실상부한 국민 식량산업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우리 축산업이 국민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뭘까. 한 마디로 요약하면 ‘스케일(scale, 경영규모)만 키웠지 디테일(detail, 세부적인 후속조치)이 따르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람도 몸이 커지면 그에 걸맞게 스스로 해야 할 일을 하고, 예의나 책임 의식이 성숙해야 한다. 우리 축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스케일에만 치중한 나머지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은 이제 축산 부문을 넘어 국가적 재앙으로 이어지고 있다.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다 럼피스킨,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으로 우리나라 주요 가축(한·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 모두가 피해 사정권에 들어가 있으니 얼마나 위험천만한 일인가.
축산의 기본 틀(패러다임)을 바꾸지 않고 땜질식으로 그때그때 위기만 모면하려고 한다면, 앞으로 대규모 가축 질병, 안전성 문제, 축산 환경 문제는 계속 발생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가축 사육환경이 바뀌고, 축산 농가의 의식이 변해야 하는데, 이를 고치지 않는다면 유사한 사고가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다.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이 건강을 지키려는 의식마저 없다면, 감기 등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것과 비슷한 논리이다.
그런데다 중앙정부는 중앙정부대로, 지방정부는 지방정부대로 각종 규제를 강화하여 축산이 설 땅을 내어 주지 않으려고 한다. 민원 탓으로 돌린다. 그렇다고 정부에 야속하다고만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는 그동안의 축산방식이 효율성과 수익을 위해 지나치게 규모 확대와 ‘최대’만을 추구해 왔다면, 지속가능한 축산 시스템과 이웃인 소비자를 생각하는 ‘최적’의 규모(적정 사육두수)를 유지하는데 소홀하지 않았나 되돌아 보아야 한다.
‘최적’의 규모는 ‘최대’ 규모에 비해 경영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으나, ‘최고’의 가치를 추구한다면 모두가 공존하면서 축산 농가의 소득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속가능한 축산은 가축의 면역력을 강화하여 가축 질병을 예방함은 물론,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자연 친화적인 축산물을 선호하는 추세에 힘입어 높은 구매자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축산은 한국 축산의 생존이라는 측면에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한국은 지난 수년간 EU, 미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 토지 면적이 넓고 사육 규모가 큰 축산 강국들과 잇달아 FTA를 체결했다. 이들과의 가격경쟁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당장 내년부터 관세 제로다. 우리가 살 길은 가축질병이나 식품안전에 강한 체질로 거듭나고,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품질·안전·안심’으로 차별화하여 우리 소비자로부터 사랑받는 것이다.
이제 우리 축산인들은 70년대 열악한 환경에서 맨 손으로 축산 발전을 이루어냈던 불굴의 정신으로, 21세기형 지속가능한 축산의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 레일 위로 농업의 성장 동력이면서 국민에게 사랑받는 축산호가 우리 후손들에 의해 계속 힘차게 달리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따라서 이의 실천을 위해 축산업계가 똘똘 뭉쳐 하나가 되어 힘을 합치고, 지혜를 모아 우군을 확보하기 위한 각종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우군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을 상대로 베풀어야 함도 잊어서는 안 된다. 새해를 맞아 우리 축산업계가 힘과 지혜를 모아 새롭게 거듭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