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지속가능 미래 여는 스마트 축산 / 농식품부 ‘스마트축산 정책’ 어디까지 왔나?

  • 등록 2024.08.30 11:14:47
크게보기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에서 스마트축산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만들려면 노동력 부족, 생산비 상승 등의 과제를 먼저 해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첨단 기술을 적용해 생산 단계서부터 혁신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살펴봐도 추진과제의 첫 번째에 ‘스마트축산’이 자리 잡은 것을 보면 정부의 의중을 알 수 있다.

이에 본지는 ‘스마트축산의’ 국내 보급현황과 성과, 정부의 향후 계획을 살펴보는 한편, 관련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업체들도 만나보는 시간을 가졌다.

 

 

빅테이터·인공지능 중심 2세대로 수준 향상

 

 

스마트축산 보급현황 및 성과
스마트축산(Smart Livestock Farming)은 축사 내 설치된 각종 장비(IoT)가 온·습도·냄새 등 환경정보와 가축의 사료급여량과 증체량 등의 생육 데이터, 활동·기침·발정 등 가축 건강 상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냉난방기 가동·급여량 조정 등 현장을 진단·제어, 개선하는 축산업을 의미한다.

 

정부는 지난 2014년부터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 등을 통해 지난해까지 총 7천265호의 축산농장에 스마트 축산을 보급했다. 이는 지난해 기준 전업농가 3만1천500여호의 23.1% 수준이다. 축종별로는 한우농가가 58%로 가장 많았다. 양돈, 낙농가가 각각 16%, 가금농가는 7.7%로 뒤를 이었다.<표1 참조>
이를 통해 가장 눈 여겨지는 성과는 바로 노동력, 생산비 절감이다.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 축산이 적용된 농가들은 축사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 온·습도와 암모니아 등의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환풍기·쿨링패드 등 축사환경 제어장치를 활용할 수 있어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아울러 축사환경의 과학적·정밀한 관리가 가능해져 전기·냉난방 등의 투입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비 절감에도 일조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농가에 스마트 축산 기술이 접목돼 가축 개체별 인식기를 활용, 가축의 건강·먹이활동 등을 점검하고 자동급이기 등을 원격 조정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피부로 느껴지는 효과”라며 “이를 통해 사료급여량을 최적화시켜 경영비 절감은 물론 부수적으로 분뇨·냄새 최소화, 탄소배출 저감 등 환경보호에까지 기여함이 크다”고 말했다.

 

10년 새 축종별 총 7천265농가에 스마트축산 보급
노동력·생산비 절감, 냄새 저감 등 환경 개선 순기능
올해 우수농가 성과시스템 확산…수급·가격안정 기여

 

 

‘스마트축산 보급’ 올해 정책 키워드
축산농가는 사룟값 상승 및 노동력 부족 등 경영여건 악화와 냄새·탄소 저감, 방역 강화 등 사회적·환경적 책임의 이중고에 직면해 있는 상태다.
이를 타개키 위한 방안으로 농식품부는 ‘스마트 축산’을 꼽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식품부는 ICT와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축산 고도화를 올해 핵심 추진과제 중의 하나로 선정했다”면서 “지속해서 관련 정책을 추진해온 결과, 최근 스마트 축산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일부 스마트축산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 냄새 저감 등 우수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표2참조> 이에, 관련 성과를 체계적으로 확산해 축산농가의 경쟁력을 높여, 축산농가의 지속 가능성을 확충하는 동시에 축산물 수급과 가격 안정까지도 이바지하겠다는 계획이다.
 

향후주요 정책 방향 및 사업목표

이처럼 스마트 축산 보급의 성과가 나타나자 정부는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축산 전업농가의 약 23%에 그치고 있는 스마트 축산 활성화를 위한 단기 보완책과 구조적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

 

우선, 축종별 스마트축산 최적 성과 도출 모델을 올해 20개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둘째, 신규 도입농의 체험․교육 등을 위한 실습 교육장을 올해 상반기 안에 2개소를 구축함과 동시에 권역‧분야별 컨설팅‧사후서비스(A/S)팀을 확대해 농가들의 불편을 해소한다.
셋째로는, 민간 클라우드에 축산업 데이터의 수집‧분석‧유통‧활용을 지원하는 축산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을 올해 10월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스마트 축산 현황 및 성과에 대한 정기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과 기업의 솔루션 개발․보완 등에 적극 활용하고,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오는 2027년까지)을 통해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중심이 되는 2세대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도 가지고 있다.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스마트 축산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향상, 특히 냄새와 가축 질병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며 “우리 축산업의 경쟁력과 지속 가능성을 스마트 축산 보급을 통해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서동휘 toara@nate.com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