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에서 농협한우국 강병규 연구위원은 한우 수급 동향을 보고하면서 “내년까지 사육두수 증가세 지속 및 공급과잉에 따른 한우 도매가격 하락세가 예상된다. 암소 감축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고 했다. 강 연구위원은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저능력 경산우 비육지원사업에 대한 도축 참여 이유를 설명하고, 올해 진행하고 있는 한우 암소 비육지원 사업에도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농협한우국(국장 윤용섭)은 이어 ‘송아지 계약 생산제 시범사업’을 소개하며 생산 규모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역축협 업무 공조를 통해 내실 있는 사업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는 거창축협이 추진해온 ‘한우 친자 확인 사업 및 거창韓 TMR’이 우수사례로 발표됐다. 거창축협은 친자확인을 통해 혈통과 능력이 우수한 종축을 확보하고, 생산이력제와 연계해 안전한 한우 먹거리 문화를 선도해왔다고 소개했다. 또 거창韓 TMR의 철저한 품질관리로 우수한 사료 제공과 등급 출현율 향상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해 왔다고 설명했다.
안병우 농협 축산경제 대표는 “최근 국내외 다양한 이슈 및 사육두수 증가 등이 송아지 산지가격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한우가격 지지 및 한우 산업의 발전을 위해 농협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