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양주축협은 양주지역에 ASF가 발생되면 양돈 산업은 존립자체가 어렵다는 우려에 따라 배합사료공장을 중심으로 차단방역 수위를 높여나가고 있다.
양주축협에 따르면 배합사료공장의 경우 광역살포기로 일 2회 내부 및 외부 소독을 실시하고 공장 정문 출입구는 터널식 차량 소독과 함께 개인 소독, 발판 소독 외 추가 방역 초소를 운영하며 출입하는 모든 차량과 탑승자, 물품 등 24시간 4교대로 직원들이 직접 운영하고 있다.
이밖에 농장방역 및 방역약품, 방역물품 공급을 더 한층 강화해 차단 방역에 나섰다.
양주, 동두천지역 58곳의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매일 아침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광역살포차량과 공방단 차량 2대로 농장 출입구 및 주변도로와 하천지역<사진>을 중점 소독하며 일일 4회에 걸쳐 소독하고 있다. ASF 발생이후 현재까지 소독약품 쎄탁-큐, 팜킬 등 600병과 바이킹 509병을 지원하고 생석회 3천136포를 지원했다. 이밖에도 방역복 370박스(8천880벌), 야생동물기피제(야피경) 509봉 1만180개 상당을 공급했다.
또한 양주축협은 전 직원이 양주관내 이동통체초소에 투입돼 1개소를 24시간 4교대로 운영하고 있다.
정훈 조합장은 “치사율 100%인 악성가축질병이 현재 양주축협 관할 구역과 접경지역인 파주와 연천에서 발생되고 있다. 무조건 막아야한다. 특히 양주축협에서 생산 공급되는 배합사료가 오염되지 않도록 축산인 모두가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